요한의 묵시록(요한계시록 13장 18절, 짐승의 숫자)

종교경전/본문비평 2014. 1. 25. 13:27

요한의 묵시록(요한계시록 13장 18절, 짐승의 숫자)


(1)666

666은 많은 그리스어 사본에 ἑξακόσιοι(헥사코시오이,600) ἑξήκοντα(헥시콘타,60) ἕξ(헥스,6)라 쓰여있고, 줄여서 쓸 경우엔 χξς(600,60,6)이라 쓰고 상단에 줄을 긋습니다.


지지사본은 코덱스 시나이티쿠스(א), 코덱스 알렉산드리아누스(A), 소문자사본 2377과 다수 본문들(비잔틴본문들), P 1006 1841 1854 2053(추정)


χξς(600,60,6) 라고 줄여쓰고 줄을 위에 그은 사본들은 A P47 051 M 과 2세기 교부 이레네우스, 3세기 교부 히폴리투스 입니다.



(2)616

한편, 신약성서 사본학에서 우수한 대문자사본인 에프라임 재생사본(C)은 ἑξήκοντα(헥시콘타,60) 대신에 δεκα(데카,10)라고 되어있습니다. 


ἑξακόσιοι(헥사코시오이,600) δεκα(데카,10) ἕξ(헥스,6). 그리고 616이라 적힌 많은 사본들을 알고 있던 2세기 교부 이레니우스의 증언이 뒷받침 됩니다. 또 라틴 교부이자 요한의 묵시록을 해석한 타이코니우스도 이를 알고 있습니다.


χῖς(600,10,6) 라고 줄여쓰고 줄을 위에 그은 사본은 파피루스 115입니다.



(3)665

또 한편, 11세기 소문자사본 2344는 ἕξ(헥스,6) 대신에 πεντε(판테,5)라고 되어있습니다. 

ἑξακόσιοι(헥사코시오이,600) ἑξήκοντα(헥시콘타,60) πεντε(판테,5)


두가지 경우의 수가 있는데, 666이 네로황제 임은 알겠으나, 배우기 어려운 시대의 한계상 히브리어를 잘 몰랐기 때문에 발음이 NRHN QSR가 아닐까 하고 게마트리아를 해보니, 665가 나오지 않았을까 추정합니다. 또는 그 지역에서는 네로 황제를 NRHN QSR라고 칭했을 수도 있습니다. 두가지 모두 가능성이 있습니다.



원래 로마의 공용어는 2개(그리스어, 라틴어)이고, 2가지 방식으로 읽혔기 때문에 정답이 없습니다. 다만, 원본문 추정시 요한의 묵시록이 그리스어로 쓰였기 때문에 666이 원래 본문일 것으로 추정하나, 1세기 말에 쓰인 요한의 묵시록이 2세기 필사본과 번역본 부터 라틴어 지역에선 잘못 쓰였다며 616으로 고치고 있었습니다.


이는 נרהן קסר, נרו קסר, נרון קסר 의 차이이지요. 네로 카이사르와 네론 카이사르. 히브리어 '눈 nun(N)'이 있고 없고는 라틴어->히브리어 변환과, 그리스어->히브리어 변환에 'N' 이 1개 차이나기 때문에 'N'에 해당하는 '50'이 있고 없고에 따라 616에서 616+50=666 이 됩니다. 맨 마지막의 것은 네론(ㅎ발음을 넣어서) 카이사르라고 적은 것을 게마트리아 한 결과 665가 됩니다. 그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히브리어는 오른쪽에서 왼쪽, 로마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는다.


<נרון קסר> NRWN QSR

200,60,100,50,6,200,50

합 666


<נרו קסר> NRW[N] QSR

200,60,100,[히브리어 Nun 생략-값 50],6,200,50

합 616


<נרהן קסר> NR(H)N QSR

200,60,100,50,(히브리어 Vau 대신 He-값 5),200,50

합 665



즉, 그리스어 사본의 숫자는 666,616,665 3가지나 됩니다. 더구나, 최소 2가지(666,616)를 만족시키는 것은 '네로 황제' 밖에 없거니와, 최대 3가지(666,616,665)를 만족시키는 것도 역시 '네로 황제' 뿐이므로 이외의 성서주석은 주석자의 권위를 막론하고 '쓰레기' 되겠습니다.